2024학년도 금융법무과정 제16기 수강생 모집 - 디지털금융법 -
1. 모집인원 : 40명 내외
2. 입학자격
● 판사ㆍ검사ㆍ변호사
● 국회ㆍ법원ㆍ행정부 공무원(5급 이상)
● 기업경영자, 관련업무 임직원
● 대학교수 및 연구원
● 관련단체의 책임자
※ 5년 이상 경력자 우대
3. 전형방법 : 서류전형
4. 지원절차
가. 지원서교부 : 금융법무과정 (http://flp.snu.ac.kr) 또는 금융법센터 (http://www.cfl.re.kr) 게시판에서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음
나. 원서접수 : 이메일 전송 kelly@snu.ac.kr (방문접수 불가)
다. 제출서류
① 입학지원서(본 대학 소정양식) 1부
② 재직증명서(기타 입학자격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서류) 1부
③ 자기소개서(지원동기 등을 중심으로 A4 2매 이내) 1부
④ 사진파일 1매
⑤ 개인정보수집.활용동의서 1부
파일명 예) 16기지원서_○○○.pdf / ○○○.jpg
※ 반드시 예시된 파일명으로 접수하되 사진파일을 제외하고 1개의 PDF파일로 제출
5. 과정안내
가. 모집기간 : 2023. 12. 21(수). ~ 2024. 1. 26(금).
나. 합격자발표 : 2024. 1. 31(수), 이메일 개별통보
다. 등록기간 : 2024. 1. 31(수). ~ 2024. 2. 23(금).
라. 입학식 : 2024. 3. 6(수). 수료식 : 2023. 6. 19(수).
6. 기타
가. 본 과정의 주임교수는 정준혁, 이정수 교수입니다.
나. 본 과정은 1학기(15주)로 운영되며, 정규강의, 블록세미나, 종합발표회로 구성됩니다.
다. 정규강의는 매주 수요일 2강좌 3시간에 걸쳐 법학전문대학원 내 강의실에서 대면으로 진행됩니다.
(저녁식사: 18:00~19:00, 1강좌: 19:00~20:20, 2강좌: 20:40~22:00)
라. 본 과정 수료자에게는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장 명의의 이수증을 수여합니다.
마. 등록금 : 5,000,000원
주차 | 날짜 | 주 제 |
1주 | 3/6(수) | △ 입학식 △ 디지털금융법제의 과제와 전망(특강) |
2주 | 3/13(수) | △ 제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금융 △ 디지털금융에 따른 금융감독의 방식과 역할변화 |
3주 | 3/20(수) | △ 디지털금융의 다양한 접근방법 : 경쟁법 △ 디지털금융의 다양한 접근방법 : 데이터법 |
4주 | 3/27(수) | △ 디지털금융의 실제1 : 핀테크 △ 디지털금융의 실제2 : 가상자산 |
5?6주 | 3/30(토) ~3/31(일) | △ 디지털금융과 플랫폼 △ 가상자산 규제의 연혁과 배경 △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(1차입법)의 법률문제 △ 가상자산기본법(2차입법)의 입법방향과 향후 전망 |
7주 | 4/3(수) | △ 가상자산거래의 법률관계 △ CBDC의 법률문제 |
8주 | 4/17(수) | △ STO의 가능성과 법률문제 △ STO 증권신고서 실무 |
9주 | 4/24(수) | △ 전자금융거래법 : 페이업, BNPL과 플랫폼 △ 디지털금융과 금융보안 |
10주 | 5/8(수) | △ 은행업과 디지털금융1 : 은행법 개정방향(인터넷전문은행법 포함) △ 은행업과 디지털금융2 : P2P대출(크라우드펀딩) |
11주 | 5/22(수) | △ 금융투자업과 디지털금융1 : 알고리즘 거래와 고빈도거래 △ 금융투자업과 디지털금융2 : 로보어드바이져 |
12주 | 5/29(수) | △ 보험업과 디지털금융 : 인슈어테크 △ 인공지능과 디지털금융 |
13주 | 6/5(수) | △ 조별발표 |
14주 | 6/12(수) | △ 규정중심규제에서 원칙중심규제로 △ 디지털금융과 새로운 과제 : 금융소외와 금융포 |
15주 | 6/19(수) | △ 수료식 및 시상 |
* 상기 일정 및 주제는 학교 또는 강사의 사정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.